본문 바로가기

오블완

[Python 기초 문법] 연산자 파이썬의 기본 연산으로는 산술연산, 논리연산, 비교연산, 대입연산이 있다. 파이썬을 활용하여 프로그래밍 함에 있어, 위 4가지 연산은 필수불가결적으로 반드시 사용되므로 반드시 숙지할 필요가 있다. 산술 연산 - 기본적인 수식 계산 뿐만 아니라,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연산 . . . 추후 기술 예정 더보기
[Python 기초 문법] 변수(variable) 변수: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 사용 방법: 변수명 = 데이터 실사용 예시 ex = 100 ex라는 변수에 100이라는 숫자 데이터를 저장한다는 의미 ex2 = "Hello World!" ex2라는 변수에 "Hello World"라는 문자열 데이터를 저장한다는 의미 더보기
[Python 기초 문법] 자료형(data type) 파이썬에서 자료형(data type)은 크게 3가지(숫자형, 문자형, 논리형)로 구분 할 수 있다. 1. 숫자형 1, 10, 3.1415, 1000 2. 문자형 "Hello", "안녕하세요", "Hi", "100" 3. 논리형 True, False 더보기
[ESP32 + Thonny] 06. 피지컬컴퓨팅 센서 톺아보기 ESP32에 연결하여 사용할 센서에 대해 소개하겠다. 00 ~ 05까지의 포스팅에서 사용한 센서는 LED, 버튼, 서보모터, 초음파 센서이다. 센서 종류는 굉장히 다양하지만, 대표적으로 교육용으로 많이 쓰이는 센서를 우선 다루었고, 그 밖에 다양한 센서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. 이후 추후 기술 예정 더보기
[백준_1000] A + B 파이썬(Python) 풀이 및 해설 [백준_1000] A + B 문제    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, A+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 입력   첫재 줄에 A와 B가 주어진다.(0  출력   첫째 줄에 A+B를 출력한다. 예제 입력   1 2예제 출력   3  풀이더보기A,B = map(int, input().split())print(A+B) 변수 A와 B를 선언하여, 띄어쓰기 기준으로 입력값을 구분하여 저장한다(input().split()) 다만, 리스트 형태로 저장이 되기 때문에 단순히 int(input().split())으로는 저장할 수가 없고 map()함수와 결합하여 map(int,input().split()) 형태로 만들어주어 변수에 값을 저장할 수 있게 한다. 더보기
[ESP32 + Thonny] 05. MicroPython을 활용한 초음파 센서 제어 [ESP32 + Thonny] 05. MicroPython을 활용한 초음파 센서 제어  이번 포스팅에서는 초음파 센서를 제어하는 방법을 소개할 것이다. 초음파 센서를 제어하기 위하여 라이브러리 파일 추가가 필요하다. 추후 기술 예정. 더보기
[ESP32 + Thonny] 04. MicroPython을 활용한 서보모터 제어 [ESP32 + Thonny] 04. MicroPython을 활용한 서보모터 제어 서보 모터는 0 ~ 180도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출력 센서이다.서보 모터의 움직임을 통해 다양한 산출물을 만들 수 있다.서보 모터의 기본적인 코드 구현을 통해 실습해보도록 한다.  1. 반복문을 활용한 서보모터 회전 구현from machine import Pin, PWMfrom time import sleep# 서보모터에 PWM 설정 (GPIO 2)servo = PWM(Pin(5), freq=50) # 각도를 PWM 듀티 사이클로 변환하는 함수def svangle(angle): duty = int(26 + (angle / 180) * (128 - 26)) servo.duty(duty)while True: .. 더보기
[ESP32 + Thonny] 03. MicroPython을 활용한 BUTTON(버튼) 제어(With. LED) [ESP32 + Thonny] 03. MicroPython을 활용한 BUTTON(버튼) 제어(With. LED)  버튼 또한 LED와 유사하게 value()로 값을 주며 작동시킬 수 있다. 버튼을 정의할 때, PULL_DOWN과 PULL_UP 중에 선택해서 제어하게 되는데PULL_DOWN의 경우 버튼이 눌리지 않은 상태에 0(LOW), 버튼이 눌렸을 때 1(HIGH)의 신호를 주며,PULL_UP의 경우 버튼이 눌리지 않은 상태일 때 1(HIGH), 버튼이 눌렸을 때 0(LOW)의 신호를 준다. 다수의 마이크로컨트롤러 장치에서는 내부 풀다운 저항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PULL_DOWN 보다는 PULL_UP을 사용하여 안정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. 그러나, PULL_UP을 사용할 경우 원하.. 더보기